2021. 5. 9. 03:51ㆍ정원관리
그라운드커버 : 지피식물 기르기, 종류와 특성, 관리법 : 꽃잔디, 하설초, 스윗 우드러프, 빙카 등..
지피식물은 지면에 가깝게 자라며 지면을 덮는 식물을 말하는데요. 주로 꽃잔디처럼 뿌리가 옆으로 뻗어나가며 지면을 넓게 덮는 식물이 여기에 속합니다. 그라운드커버라는 용어도 같은 뜻인데 얕게 땅을 덮는 식물들을 말합니다.
정원을 계획할 때, 이런 그라운드커버 식물의 특징을 활용하는 법을 알려드릴까 해요.
그라운드커버의 특징
- 대부분의 그라운드커버는 큰 관리가 없이도 매해 커버하는 영역이 확장됩니다. 꽃잔디를 예로 들어, 작은 화분을 하나 심으면 그 다음해에는 두배, 그 이듬 해에는 3-4배씩 자라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인내심만 있다면 작은 화분 하나로 몇 해 안에 서너배의 넒은 영역을 커버하게 하는 것은 초보 정원지기에게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 뿌리가 지면을 따라 얕게 자라기 때문에 뿌리가 깊은 식물을 심을 수 없는 큰 나무 밑에 생기를 불어 넣을 수 있습니다. 큰 나무 주변은 두꺼운 나무 뿌리 때문에 땅을 깊게 파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이런 곳에 심기에도 적합합니다. 그늘이 문제라구요? 그늘에서도 잘 자라는 그라운드커버도 많이 있으니 아래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키가 작기 때문에 뒤에 심을 식물을 가리지 않고, 돋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뒷쪽에 심겨진 꽃과 같은 시기에 꽃을 피우는 그라운드커버를 심는다면 화려함을 배가 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고, 다른 시기에 꽃피는 그라운드커버를 심는다면 더 오랜 기간동안 그 곳에 즐거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빈땅을 뒤덮어 잡초 씨앗이 땅에 떨어지는 것을 막고, 땅에 떨어지더라도 빛을 차단하여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합니다.
그라운드커버의 종류
그라운드커버는 대부분 약간의 그늘에서도 잘 자라는 편이지만, 크게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좋아하는 그라운드커버와 그늘에서도 잘 자라는 그라운드커버로 나누고, 나란히 심을 식물을 고려해 키와 개화시기도 함께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양지에 적합한 그라운드커버
꽃잔디, 지면패랭이 Creeping Phlox Phlox stolonifera
다양한 색깔의 꽃잔디. 색도 다르지만 꽃잎 모양도 달라 품종에 따라 표면이 다르게 보이기도 합니다. 꽃잎이 큰 것은 표면이 좀 더부드럽고, 잎이 얇은 것은 표면이 입체감이 있습니다.
키: 20cm 이하.
개화시기: 이른 봄. 수선화, 튤립, 벚꽃, 박태기 나무꽃이 필 무렵.
심은 첫 해.
4년차. 햇볕만 잘 든다면 퍼지는 것은 시간 문제, 처음부터 너무 꽉차게 심으면 곧 나누어 심을 곳을 찾아야 할 지도..
봄이 끝나갈 무렵 세일 코너에서 데려온 다른 색깔의 꽃잔디들 (오른쪽 위 두개)
15센티 화분 하나를 나누어 심은 것이 이렇게 여러 개로 자랐습니다.
하설초, 스노우인써머 Snow in Summer Cerastium tometosum
은색잎에 흰 꽃이 아름다운 하설초.
별다른 관리가 필요없고, 일단 자리만 잡으면 정말 잘 퍼져나가지만 그래서 고민거리이기도 한 아이.
키:20-40cm(꽃이 피었을 때) 그라운드커버 중에는 키가 큰 편.
개화시기: 봄, 철쭉, 비어디드 아이리스, 모란이 필 때.
작약, 아이리스와 함께 피었을 때.
꽃이 피기 전, 이른 봄부터 은색잎을 자랑합니다.
월동제라늄 Hardy Geranium, Cranesbill
노지 월동이 가능한 제라늄 중에서도 키가 작은 제라늄은 그라운드커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해마다 이른 봄이나 늦가을에 뿌리를 나누어 심어주면 더 빨리 번식시킬 수 있습니다. 키가 큰 품종도 있고 색깔도 보라색, 흰색, 분홍계열로 다양합니다.
키 :10-50cm
개화시기: 늦봄, 작약, 장미가 필 때.
프리뮬러, 앵초 Primrose, Polyanthus primulas
이른 봄 꽃을 피우는 프리뮬러는 그라운드커버로 분류되진 않지만, 넓지 않은 영역에 그라운드커버처럼 활용할 수 있는 식물입니다. 해마다 꽃이 진 직후에 포기를 나누어 심어주면 금세 자라납니다.
키: 20cm 이하.
개화시기: 이른 봄. 수선화, 튤립, 벚꽃, 박태기 나무꽃이 필 무렵.
아라비스 Arabis caucasica
키: 20cm 이하.
개화시기: 이른 봄. 수선화, 튤립, 벚꽃, 박태기나무꽃이 필 무렵.
송엽국 Ice Plant Delosperma cooperi
키: 20cm 이하.
개화시기: 여름, 수국, 장미와 함께
타임 Thymus Serphylum
키 : 20cm 이하
개화시기: 장미, 수국
반그늘에서도 꽃을 잘 피웁니다.
알리썸 Alyssum Lobularia maritima
한해살이 식물이지만 그라운드커버로 활용이 가능한 알리썸은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꾸준히 꽃을 피우며 꽃에서 꿀향기가 납니다. 한해살이라 월동은 하지 못하지만 초겨울까지 그대로 두면 혼자 씨를 뿌려 이듬해에도 다시 자라납니다.
키: 20cm 이하.
개화시기: 여름부터 늦가을, 장미, 시베리안 아이리스, 수국, 무궁화
음지에서도 잘 자라는 그라운드커버
스윗 우드러프 Sweet Odruff Galium odoratum
완전 그늘에서도 잘 자라며 독특한 모양의 연녹색 잎이 아름답습니다.
키: 20cm 이하
개화시기: 봄, 철쭉, 비어디드 아이리스, 모란이 필 때.
램즈이어 Lamb's Ear Stachys vyzantia
은색의 부드럽고 도톰한 잎이 특징이고 품종에따라 꽃을 피우지 않기도 합니다.
자주광대나물 Lamium
은색의 잎부터 노란색까지 품종이 다양하며 꽃도 흰색, 분홍색, 라벤더 계열로 다양합니다.
개인적으로 그늘 그라운드 커버 중에서 가장 쉽게 기를 수 있는 식물로 뽑고 싶습니다.
키: 20cm
개화시기: 봄, 철쭉, 비어디드 아이리스, 모란이 필 때.
아주가 Ajuga reptans
키: 20-40cm
개화시기: 여름, 장미, 시베리안 아이리스가 필 때
빙카 Vinca manor
키: 20cm
개화시기: 봄, 철쭉, 비어디드 아이리스, 모란이 필 때.
아래부터는 그라운드커버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비슷한 역할을 하는 식물들입니다.
호스타 Hosta
키: 20-50cm 꽃이 피면 1m까지..
개화시기: 늦여름, 수국, 장미
다양한 톤의 녹색 품종, 잎에 무늬가 있는 것,
미니 호스타도 있습니다.
여름에는 예쁜 꽃도 피웁니다.
물망초 Forget-me-nots, Myotosis
키: 20cm 이하
개화시기: 봄, 철쭉, 비어디드 아이리스, 모란이 필 때.
은방울 꽃 Lily of the valley Convallaria majalis
키: 20-30cm
개화시기: 봄, 철쭉, 비어디드 아이리스, 작약이 필 때.
브루네라 Brunnera
키: 20-30cm
개화시기: 봄, 철쭉, 비어디드 아이리스, 모란이 필 때.
폐창초 Pulmonaria
키: 20-30cm
개화시기: 봄, 철쭉, 비어디드 아이리스, 작약이 필 때.
실라 Scilla
키: 20-40cm
개화시기: 봄, 철쭉, 비어디드 아이리스, 작약이 필 때.
심은 첫 해.
이렇게 쓰고 나니 그늘에서 잘 자라는 그라운드커버가 생각보다 많네요.
그라운드커버 잘 활용하셔서 아름다운 정원 만들어 보아요.
https://homisgarden.tistory.com/121
은방울꽃 Convallaria majalis 심는 법, 관리법
은방울꽃 Convallaria majalis 심는 법, 관리법 은방울꽃은 진주처럼 둥글고 작은 꽃을 피우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꽃 모양이 독특하고 아름다울 뿐더러 향기도 정말 좋습니다. 일년내내 그늘지고
homisgarden.tistory.com
https://homisgarden.tistory.com/358
그늘을 좋아하는 식물? 그늘에서 잘 자라는 식물(음지 식물)
그늘을 좋아하는 식물? 그늘에서 잘 자라는 식물(음지 식물) 제목이 이런 이유는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하자면 어떤 식물은 그늘을 좋아해서 그늘에서 잘 자란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식물의
homisgarden.tistory.com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질문과 피드백 언제나 환영합니다!!
'정원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 장미 가지치기 (1) | 2021.08.24 |
---|---|
한 해에 여러 번 꽃을 피우는 식물 (1) | 2021.05.16 |
튤립을 키우는 최선의 방법 - 튤립 키우기 : 심는 법, 관리법 (0) | 2021.04.25 |
조경수 고르기 : 보라색/붉은색 잎을 가진 나무, 초본식물 (2) | 2020.06.14 |
나무 수국 가지치기, 수국 가지치는 방법 (12) | 2020.06.08 |